강태진
언론속의 강태진

언론속의 강태진

[사설] 자동차 경쟁력 전기자동차에 승부 걸어야
[매일경제] 사설 2009.10.08

정부가 전기자동차 관련 기술 개발과 실증, 보급 지원 등을 골자로 한 `전기자동차산업 활성화 방안`을 발표했다. 주요 내용은 정부가 전기자동차 국내 양산 시기를 2011년 하반기로 2년 앞당기고 향후 명실상부한 글로벌 전기자동차 4대 강국으로 발돋움하겠다는 구상이다.

녹색성장 비전을 구현하기 위해 정부가 야심차게 추진하고 있는 정책 중 하나가 바로 친환경 자동차 보급이다. 우리나라 연간 석유 소비 중 상당 부분을 자동차가 차지하고, 총 CO₂ 배출량 중 약 3분의 1이 자동차에서 나오는 점을 감안하면 친환경 자동차 개발이야말로 에너지 안보와 저탄소라는 두 마리 토끼를 동시에 잡을 수 있는 핵심 열쇠다. 그중에서 특히 전기자동차는 차세대 자동차로서 큰 기대를 모으고 있다.

전기자동차 기술의 핵심은 에너지 저장장치인 배터리 기술에 달려 있으며 향후 배터리 기술의 획기적 발전 없이는 전기자동차 미래가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따라서 효율성이 높은 전기자동차를 양산하려면 배터리 기술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는 게 관건이다. 국가 간 전기자동차 시장 선점 경쟁에서 승리하려면 배터리와 그 속에 들어가는 소재 기술에서 얼마만큼 경쟁력을 확보하느냐에 달려 있다. 이런 의미에서 배터리 생산업체와 자동차 생산업체 간 유기적인 관계 정립이 매우 중요하다.

최근 배터리 기술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국내 연구팀에서 온라인 충전 방식을 적용한 전기자동차 개념을 발표했다. 이는 도로에 묻어 놓은 전선에서 전기를 얻어 달리는 전기자동차의 일종으로 비접촉 무선 방식을 통해 달리면서도 전기 충전이 가능해 용량이 작은 배터리 사용이 가능하고 충전소와 같은 대규모 인프라스트럭처를 구축해야 하는 부담이 대폭 줄어들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온라인 전기자동차 효율성은 60%를 넘기 힘들어 사업성이 없다는 사실이 이미 외국 연구 결과로 검증되었고 도로 100m마다 설치해야 하는 인버터 가격이 현재 대당 3000만~4000만원으로 경제성이 오히려 더 떨어질 수 있다.

전기자동차에 대한 정부 주도의 대규모 투자는 미래 기술에 대한 다양한 가능성을 열어두고 진행되어야 한다. 기술의 경제성과 상용화 가능성을 배제한 상태로 연구개발 사업이 진행되도록 방치해서는 안 될 일이다. 목표가 뚜렷하지 않은 사업에 `묻지마` 식으로 투자를 한다거나 `전시성` 사업에 휘말려 세금을 낭비하는 일이 없어야 하겠다. 향후 전기자동차 연구개발 방향은 범전문가 그룹 의견을 수렴하여 신중하게 진행해야 할 것이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