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속의 강태진
전문가들은 시장을 바꿀 신기술 개발을 위해선 긴 안목을 가지고 사람에 투자해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강태진 서울대 공대 재료공학부 교수는 “현재 우리가 새로운 기술을 개발하지 못하는 것은 기업들에서
연구하는 기술 인력의 수준이 낮기 때문”이라면서 “연구인력의 수준을 끌어올리지 않고 새로운 기술이 그냥
나오기를 바라선 안 된다”고 직언했다. 이어 “연구개발이라는 것이 닦달한다고 결과물이 나오는 것이 아니다.
미국의 혁신 기업들을 보면 연구인력들이 다양한 창의적 사고를 하도로 유도하고 있다”고 말했다.
강 교수는 “목표가 개선이 아니라 혁신이고, 신기술이라면 단기적인 성과만을 요구하는 기업 문화도
바뀌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박준형 효성 폴리케톤부문 사장도 “결국 연구도 개발도 사람이 한다”면서
“장기간에 걸쳐 노하우를 가진 연구인력을 많이 확보한 나라가 결국 기술 경쟁력이 있는 국가가 되는 게
아니겠느냐”고 말했다.기술 개발 과정에서 실패를 하더라도 다시 일어설 수 있는 기업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심영택 서울대 법학전문대학원 초빙교수는 “새로운 기술 개발에는 위험이 따를
수밖에 없다. 그런데 우리 사회는 기업을 하다 한번 실패하면 다시 일어서기 힘든 구조”라고 진단했다. 이어
“이렇다 보니 괜히 새로운 기술을 개발한다고 하다가 회사를 망가뜨리는 것보다 안전하고 돈이 되는 것만 하려는
곳이 많아지면서 새로운 기술 개발이 이뤄지지 않는 것”이라고 꼬집었다.
강 교수도 “정부가
시행하는 기술연구 사업도 성과를 내기 위해 성공 가능성이 높은 안전한 프로젝트에만 지원을 하고 있다는
것”이라면서 “정부 프로젝트는 좀더 획기적이고, 참신한 아이디어에 지원되는 것이 맞다고 본다”고 했다.
장기적인 안목을 가진 기업들의 투자가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왔다. 강충석 코오롱인더스트리 CPI
사업부장은 “완전히 새로운 기술을 개발할 테니 10년을 달라고 하면 선진국들과 달리 우리 기업들 가운데
십중팔구는 하지 말라고 한다”면서 “정부 지원책과 우수한 인력도 필요하지만 긴 안목을 가지고 기술 개발을
진행하도록 지원하는 경영철학과 안목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김동현 기자
moses@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