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속의 강태진
요즘 어디를 가나 4차 산업혁명이 화두다.
4차 산업혁명이란 무엇이며, 과연 실체가 있는 것일까. 진정한 의미의 4차 산업혁명은 서로 다른 기술의
결합과 융합에 의한 생산성 향상에 있으며 동시에 이질적인 분야와의 협력도 이끌어 내야 한다. 인류는 끊임없이
문명을 발전시켜 왔고 기술을 개발해 왔다. 1만여년 전 수렵채집 생활에서 농경사회로 정착하며 농업혁명을
일구어 냈다. 19세기 기계화에 의한 1차 산업혁명은 인류에게 물질적 풍요를 안겨 주었고, 꾸준한 과학기술의
개발로 인구의 폭발적 증가를 가져왔다. 최근 수년간 이룩한 빅데이터와 융합된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등의 2차
정보혁명은 인류의 삶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키고 재화생산의 패러다임을 바꾸어 4차 산업혁명을 가져올 것으로
기대한다. 현대 과학기술의 진보는 하이텍 서비스 산업으로 우리의 일상을 바꾸고 산업 현장에서는 재화생산의
패러다임을 바꿔 가며 마케팅, 서비스 산업과 결합되고 있다. 이렇게 신기술이 혁신에 그치지 않고 사회 시스템
전반이나 인류의 재화생산과 일상에 큰 변화를 초래하는 경우를 산업혁명이라 말한다. 이는 미래 역사가들이
판단할 일이지만, 분명한 것은 최근 변화의 속도를 이미 우리가 실감하고 있고, 생활 속으로 파고들고 있다는
점이다.
4차 산업혁명의
특징은 서로 관계 없어 보이고 독립적인 것들이 융합해 새로운 세상을 열어 가는 데 있다. 아마존의 음성인식
인공지능인 알렉사가 포드자동차에 탑재돼 자동차 주행을 음성으로 제어하고, 알렉사와의 대화를 통해 필요한
지식이나 정보를 받으며, 차 안에서 주식 투자 등의 경제활동이 가능하고 집 안의 전기나 난방까지 조절할 수
있다. 4차 산업혁명에서 가장 중요한 자원 가운데 하나는 데이터다. 소위 데이터를 가진 나라 간의 전쟁이라고
보아도 과언이 아니다. 우리가 무심코 살아온 일상생활이 빅데이터로 전환되고 인공지능으로 가공돼 큰 자원이
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병원에 가서 건강 검진을 하고 모든 사람의 의료 기록을 모으면 그 빅데이터가
웬만한 의사보다도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게 된다. 미국의 카글사는 건강 검진할 때 찍은 동공
사진의 빅데이터를 모아 동공만 보아도 당뇨병이나 고혈압의 징후를 진단해 내는 인공지능 의사를 개발했다.
그러면 이러한 시대에 과연 우리는
무얼 준비해야 할까. 무엇보다도 기술, 경영과 사람에 관한 모든 것을 디지털 정보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산업
현장에서는 공정, 노하우, 에너지 등 모든 생산 요소에 관련된 정보가 디지털 정보화돼야 하고 수작업과
로봇화된 자동화 작업을 인간과 효율적으로 조합하는 것이 중요하다. 경영 측면에서도 모든 자원을 데이터로
변환시킨 디지털 프로세스에 의존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디지털화를 성공적으로 이루기 위한 요소는 역시
디지털 기기와 조화를 이룰 수 있는 사람이다. 모든 구성원이 데이터 과학에 관한 기본 지식을 익히도록
재교육을 해서 디지털 환경에서 일체가 돼 작업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일을 이끌 디지털 컨버전스 매스터를
길러 내는 것이 중요하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미래를 준비하는 데도 역시 사람의 교육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우리나라도 기본교육이나 평생교육을 통해 디지털 융합이 가능하고 이를 관리할 수 있는 인재를 양성하는 것이
시급하다.
이러한 대변화의 돌풍
앞에서 개인뿐만 아니라 국가도 기술 진보가 가져올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비해야 한다. 미래사회에는 직장인의
광범위한 재교육이 필수적이며, 국가는 시대에 따라 필요한 능력을 습득시킬 수 있는 국민 평생교육 시스템을 잘
갖추어야 한다. 이것이 국가의 미래 역량이다. 이미 스위스, 싱가포르, 영국, 미국, 스웨덴 등의 나라는
이러한 역량을 갖춘 나라로 평가되고 있다. 과연 우리의 산업은 이러한 4차 산업혁명의 대전환에 동참할 준비가
돼 있는지, 또한 우리는 이러한 격변의 시대를 이끌어갈 인재를 양성하고 있는지 돌아볼 때다.
[강태진 서울대 재료공학부 교수]